단편영화 분류
공간적 역사
작성자 정보
- 단편영화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공간적 역사
Spatial history , 2015
개요(단편영화) 인도네시아 27분
감독 : 이르완 아흐메트

줄거리
이 작품은 1966년 인도네시아의 역사/정치적 상황에 관한 논란에 대한 대답으로 기획된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이후에 수퍼세마르(3월 11일의 문서)로 알려지게 된, 수카르노로부터 수하르토로의 권력이양을 둘러싼 논란에 관한 것이다.
유적지들을 방문하고, 정치권력의 이양을 경험한 사람들의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작가는 서로 다른 주장과 감각의 충돌을 경험하였다.
이는 특히 수퍼세마르의 여러가지 판본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권력의 가장 확실한 증거는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가? 작가는 역사를 통해 이해할 수 없는 ‘빈 공간’ 을 보게되는데, 이 공간은 최소한 개념적으로는 작가 자신의 상상력의 공간이자 이를 ‘발견’하고자 하는 예술가 자신의 공간인 것이다.
이 작품은 마치 기념물이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듯이, 거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사물들과 사건, 그리고 물질이 역사에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일종의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
[제 12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Spatial history , 2015
개요(단편영화) 인도네시아 27분
감독 : 이르완 아흐메트

줄거리
이 작품은 1966년 인도네시아의 역사/정치적 상황에 관한 논란에 대한 대답으로 기획된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이후에 수퍼세마르(3월 11일의 문서)로 알려지게 된, 수카르노로부터 수하르토로의 권력이양을 둘러싼 논란에 관한 것이다.
유적지들을 방문하고, 정치권력의 이양을 경험한 사람들의 기억을 재구성하면서 작가는 서로 다른 주장과 감각의 충돌을 경험하였다.
이는 특히 수퍼세마르의 여러가지 판본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권력의 가장 확실한 증거는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가? 작가는 역사를 통해 이해할 수 없는 ‘빈 공간’ 을 보게되는데, 이 공간은 최소한 개념적으로는 작가 자신의 상상력의 공간이자 이를 ‘발견’하고자 하는 예술가 자신의 공간인 것이다.
이 작품은 마치 기념물이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듯이, 거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사물들과 사건, 그리고 물질이 역사에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일종의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
[제 12회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영화 공간적 역사 관련 동영상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