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분류
신돈
작성자 정보
- 드라마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신돈
2005
개요(TV시리즈) 드라마 한국 2005 .09.24 개봉
감독 : 김진민
출연 : 손창민(신돈), 정보석(공민왕), 서지혜(노국공주/반야)

줄거리
영전 안, 노국대장공주의 초상화를 마주하고 앉아 마치 살아있는 사람에게 건네듯 술을 따르는 공민왕에게 명덕태후는 용상을 탐해 폐하를 해치려고 한 신돈의 역모가 낱낱이 들어났다며, 신돈을 죽여 폐하의 위엄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국대장공주의 초상화를 바라보는 공민왕의 눈에 눈물이 흘러내린다.
선경전 안, 기둥에 바싹 등을 대고 숨어있던 원현이 신돈을 향해 나오며 폐하를 죽이고 용상에 오를 기회는 수없이 많았다며, 그냥 그 자리에 앉아 죽음을 맞을 거냐며 용상을 노려보고 앉은 신돈에게 부르짖는다.
신돈은 공민왕5년(15년 전), 노국대장공주가 자신에게 조공사로 얼룩진 실록을 읽어주며 원제국이 멸망하기 전에 조공의 수치를 벗어 던져버려야 한다고 했던 일을 회상한다.
공민왕20년(서기1371년). 선경전에서 마주한 공민왕과 신돈, 두 사람은 노국대장공주의 영전 공사를 놓고 한 치의 접점 없는 대립을 계속한다.
노국대장공주의 혼을 기리는 영전 공사를 반대하는 이유를 묻는 공민왕에게 신돈은 근년에 가뭄이 계속되어 백성들의 생활이 궁핍하기 그지없다며 지나치면 부족한만 못하다고 한다.
공민왕은 사배(四拜)를 올리고 나가는 신돈에게 ‘그 문을 열고 나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이야’라고 내지르지만 신돈은 아랑곳없이 나가 버린다.
선경전을 나온 신돈의 시선에 자객들의 칼날이 어둠 속에서 번뜩인다.
“충목왕 3년(서기 1347년)” 연적과 종이 등 구입한 물건들을 안고 저자거리를 지나던 원현과 신돈, 북적대는 인파 사이를 거칠게 헤치고 나오는 몇몇 사내와 부딪히고 안고 있던 물건들이 바닥에 떨어지고 만다.
뭔가 수상한 낌새를 알아챘듯 신돈이 정색을 하고 한발 나서지만 원현이 신돈을 가로막는다.
남대가 일각을 지나던 보우를 본 신돈은 합장 배례하는 사람들 사이를 헤집고 나와 보우 앞에 넙죽 엎드리고는 부르짖듯 묻는다.
‘어찌하면 저 같은 미천한 천승이 세상을 구할 수 있겠나이까?’
돈과 연적을 훔쳐간 장정들을 잡아 제압한 신돈(손창민)은 잃어버린 돈과 연적을 되찾고도 장정들이 가진 돈 전부를 빼앗는다.
신돈의 행실을 옆에서 지켜보던 원현(오만석)이 도둑이 따로 없다며 한마디 하지만 신돈은 아랑곳없이 술과 고기까지 시켜 먹는다.
몸조차 가누지 못하고 상궁 나인들의 부축을 받는 충목왕을 바라보던 희비윤씨(지성원)는 아들인 경창부원군의 세상이 온다며 웃음을 참지 못한다.
희비의 입가에 도는 미소를 본 덕녕공주(김여진)는 무슨 일이 있어도 팔관회의 조회는 전하(충목왕)께서 직접 받으셔야 한다며 건강상의 이유로 충목왕의 팔관회 주재를 만류하는 이제현을 물리치고는 병색이 완연한 아들 충목왕을 얼싸안는다.
개경 법왕사에 도착한 신돈과 원현, 법왕사에 어둠이 깔리자 신돈은 속세에 나왔으면 속세의 맛을 봐야한다며 승복을 벗어 던지고 원현과 함께 남대가 유흥가에 나간다.
충혜왕과 공민왕의 어머니인 명덕태후(엄유신)가 보우를 불러 원에 볼모로 가있는 강릉대군(공민왕)의 안부를 묻자 보우는 연경에서 본 공민왕의 모습을 회상한다.
어린나이에 원에 볼모로 끌려와 있는 신세를 한탄하며 허성세월 하는.. 명덕태후의 처소를 나서던 보우는 김상궁에게 강릉대군께서는 돌아오실 거라는 말을 남기고 돌아서 간다.
신돈과 원현이 술과 색에 빠져있는 색주가에 관리와 장정들이 들이닥치는데 낮에 신돈에게 당한 덕성부원군의 수하들이다.
간신히 장정들을 따돌리고 원현과 무사히 법왕사로 돌아온 신돈은 우연히 라마승들의 독경소리와 마니통 돌리는 모습을 접하고는 경탄에 찬 눈빛으로 바라본다.



2005
개요(TV시리즈) 드라마 한국 2005 .09.24 개봉
감독 : 김진민
출연 : 손창민(신돈), 정보석(공민왕), 서지혜(노국공주/반야)

줄거리
영전 안, 노국대장공주의 초상화를 마주하고 앉아 마치 살아있는 사람에게 건네듯 술을 따르는 공민왕에게 명덕태후는 용상을 탐해 폐하를 해치려고 한 신돈의 역모가 낱낱이 들어났다며, 신돈을 죽여 폐하의 위엄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노국대장공주의 초상화를 바라보는 공민왕의 눈에 눈물이 흘러내린다.
선경전 안, 기둥에 바싹 등을 대고 숨어있던 원현이 신돈을 향해 나오며 폐하를 죽이고 용상에 오를 기회는 수없이 많았다며, 그냥 그 자리에 앉아 죽음을 맞을 거냐며 용상을 노려보고 앉은 신돈에게 부르짖는다.
신돈은 공민왕5년(15년 전), 노국대장공주가 자신에게 조공사로 얼룩진 실록을 읽어주며 원제국이 멸망하기 전에 조공의 수치를 벗어 던져버려야 한다고 했던 일을 회상한다.
공민왕20년(서기1371년). 선경전에서 마주한 공민왕과 신돈, 두 사람은 노국대장공주의 영전 공사를 놓고 한 치의 접점 없는 대립을 계속한다.
노국대장공주의 혼을 기리는 영전 공사를 반대하는 이유를 묻는 공민왕에게 신돈은 근년에 가뭄이 계속되어 백성들의 생활이 궁핍하기 그지없다며 지나치면 부족한만 못하다고 한다.
공민왕은 사배(四拜)를 올리고 나가는 신돈에게 ‘그 문을 열고 나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이야’라고 내지르지만 신돈은 아랑곳없이 나가 버린다.
선경전을 나온 신돈의 시선에 자객들의 칼날이 어둠 속에서 번뜩인다.
“충목왕 3년(서기 1347년)” 연적과 종이 등 구입한 물건들을 안고 저자거리를 지나던 원현과 신돈, 북적대는 인파 사이를 거칠게 헤치고 나오는 몇몇 사내와 부딪히고 안고 있던 물건들이 바닥에 떨어지고 만다.
뭔가 수상한 낌새를 알아챘듯 신돈이 정색을 하고 한발 나서지만 원현이 신돈을 가로막는다.
남대가 일각을 지나던 보우를 본 신돈은 합장 배례하는 사람들 사이를 헤집고 나와 보우 앞에 넙죽 엎드리고는 부르짖듯 묻는다.
‘어찌하면 저 같은 미천한 천승이 세상을 구할 수 있겠나이까?’
돈과 연적을 훔쳐간 장정들을 잡아 제압한 신돈(손창민)은 잃어버린 돈과 연적을 되찾고도 장정들이 가진 돈 전부를 빼앗는다.
신돈의 행실을 옆에서 지켜보던 원현(오만석)이 도둑이 따로 없다며 한마디 하지만 신돈은 아랑곳없이 술과 고기까지 시켜 먹는다.
몸조차 가누지 못하고 상궁 나인들의 부축을 받는 충목왕을 바라보던 희비윤씨(지성원)는 아들인 경창부원군의 세상이 온다며 웃음을 참지 못한다.
희비의 입가에 도는 미소를 본 덕녕공주(김여진)는 무슨 일이 있어도 팔관회의 조회는 전하(충목왕)께서 직접 받으셔야 한다며 건강상의 이유로 충목왕의 팔관회 주재를 만류하는 이제현을 물리치고는 병색이 완연한 아들 충목왕을 얼싸안는다.
개경 법왕사에 도착한 신돈과 원현, 법왕사에 어둠이 깔리자 신돈은 속세에 나왔으면 속세의 맛을 봐야한다며 승복을 벗어 던지고 원현과 함께 남대가 유흥가에 나간다.
충혜왕과 공민왕의 어머니인 명덕태후(엄유신)가 보우를 불러 원에 볼모로 가있는 강릉대군(공민왕)의 안부를 묻자 보우는 연경에서 본 공민왕의 모습을 회상한다.
어린나이에 원에 볼모로 끌려와 있는 신세를 한탄하며 허성세월 하는.. 명덕태후의 처소를 나서던 보우는 김상궁에게 강릉대군께서는 돌아오실 거라는 말을 남기고 돌아서 간다.
신돈과 원현이 술과 색에 빠져있는 색주가에 관리와 장정들이 들이닥치는데 낮에 신돈에게 당한 덕성부원군의 수하들이다.
간신히 장정들을 따돌리고 원현과 무사히 법왕사로 돌아온 신돈은 우연히 라마승들의 독경소리와 마니통 돌리는 모습을 접하고는 경탄에 찬 눈빛으로 바라본다.
영화 신돈 관련 동영상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