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 군함도

작성자 정보

  • 군함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군함도
군함도

군함도를 드디어 보고 왔습니다.여러가지 평이 나뉘는 것 같은데 특히나 논란거리도 많고 부정적인 평이 더 많은 듯합니다.제 개인적으로는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을 나누고 싶은데요한번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좋았던 점1.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아픈의 역사를 다뤘다는 것2. 영화적 픽션요소가 많이 가미되었지만, 군함도 자체의 이야기거리가 이제라도 나왔다는 점3. 영화 세트장! 이 세트장만으로도 미술감독은 영화시상식에 모든 상을 휩쓸 것 같네요
*아쉬웠던 점1. 영화적 픽션요소라고 하나, 광복군 작전이라던지 다소 사실과 다른 요소의 아쉬움 시각에 따라 장점이기도 단점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2. 연출은..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부분이 탈출에만 맞춰져있었는데, 실제 이런 대규모 탈출은 힘들었다고 하네요 또한, 마지막 부분 송중기의 외치는 장면은 다소 현실성마저 없어보였습니다.(스포자제)3. 독과점 스크린수. 예전에 보고 싶었던 영화들이 스크린수에 밀려 못보게 된 사례가 몇몇 있었기에 더욱더 아쉬웠습니다.4. 배우들의 연기 연기를 못했다는게 아닙니다. 솔직히 대배우이자 국민배우 황정민은 몇번째 똑같은 캐릭터인지 연기인지 구분하기 어려웠고 이경영또한 역시나, 송중기 연기도 조금은 아쉬웠다고 생각합니다. 이정현의 사투리는 저만 어색했나요? 물론 연기를 못했다는 것이 아닙니다. 연기를 잘했음에도 아쉬움이 느껴지는 것은 왜 일까요?5. 덩케르크와 비교되는 신파극 덩케르크 댓글을 보면서 인상깊었던 것이, 우리나라였으면 이런 소재에 신파극으로 만들어 눈물 짜냈을 거라고 했던게 기억납니다. 그리고 여지없이 군함도라는 실화가 신파극으로 나왔죠.6. 세트장이 아까웠는지 너무 많은 것을 보여주려고 하다보니 전체적으로 산만하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뭐 영화를 보는 내내 아쉬움이 많았지만..역사적 사실을 얘기해보고자 합니다.(영화와는 별개로)군함도가 나오면서 역사 관련 강사들의 많은 강의를 보게되었습니다.그렇게 알게된 인물 중 탁경현이란 사람을 알게되었습니다.
잠깐 이에 대한 내용을 보실까요?

(출처:스브스 뉴스)어려서 가난으로 이주했던 일본에서 강제 징집당하여 가미카제 특공대로 생을 마감한 조종사입니다.복잡한 심경에 출격전날 아리랑을 불렀다고 하는데. 영화 호타루에서 이 장면이 나옵니다.이 장면을 보는데, 왜 가슴한편 찡한 걸까요대동아 공영권이라는 말도 안돼는 욕심으로 시작한 남의 전쟁에 끌려나와자신의 삶을 바쳐야했습니다.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아니었고요너무나 가슴이 아픈 우리 역사의 비극입니다.
그렇다면 왜 일본은 이 역사를 은폐하려 할까요?군함도의 유네스코 등재에 대해서는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자신들의 유리한 역사만 역사입니까?철처히 나치를 배격하는 독일인들의 반성에서 오늘 일본인들의 정확히는 일본 위정자들의더러운 면을 봅니다.오늘날 이리된 것은 일본의 정치가들이 제대로된 역사 공부를 시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일본 젊은이들이 잘못된 그야말로 FACT에 대해선 제대로 교육받지 않고 있습니다.정말 아쉽습니다.
아울러, 이와 다소 연관성이 없지만 우리나라도 우리의 흑역사에 대해선후대에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베트남전의 정당성을 떠나 그곳에서 일어났던 한국군의 만행 등)
역사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들게한 군함도 였습니다.마지막으로 지난 동아시아컵 한일전에서 붉은악마가 보여주었던 퍼포먼스로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출처: OSEN)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지미스

로그인 후 군함도에 대한 FAQ를 등록해 주세요.

군함도 관련 동영상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관련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