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광구 - 7 광구 (2011년)

작성자 정보

  • 7광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7 광구 (2011년)
7광구

감 독 : 김지훈 스토리 : 윤제균 출 연 : 하지원, 오지호, 안성기, 박철민, 송새벽, 이한위, 차예린 오늘 [7광구] 시사회를 보고 왔습니다. 아이맥스 시사회 였는 데요. 역시 왕십리 CGV의 아이맥스 상영관은 듣던 대로 대단 하더군요. 일전에 시사회에서 레드 써니님에게 국내에서 가장 큰 아이맥스 상영관을 물은 적이 있는 데, 왕십리라고 하더군요. 정말 스크린 크기가 장난이 아니 였습니다.상영을 하기 전에 무대 인사를 나온 김지훈 감독은 아직 계속 보강 작업을 하고 있다는 말을 하였는 데요. 일단 현재 수준으로도 3D는 만족 할 만큼 나와 준 것 같더군요. 다만 아쉬운 점은 3D 영화에 아웃 포커스 촬영을 한 것인데요. 하나의 피사체에 포커스를 맞추고 다른 쪽의 사물이나 인물이 흐리게 나오게 만들어 대비를 시킬 경우 인데요. 3D에서는 흐린 사물이나 인물이 앞으로 나오게 될 경우 특히 방해가 되는 것 같더군요. 그 외에는 계속 보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니 조금 더 나아 질 것으로 예상 됩니다.[트랜스포머2]의 경우도 상영 바로 전까지 보강 작업을 한 바 있습니다. 아무튼 우리나라도 드디어 아이맥스 영화의 탄생을 보게 되는 군요.

[7광구]는 이클립스라는 석유 시추선을 배경으로 본격 괴수 영화인데요. [7광구]에 등장을 하는 괴수는 거대 괴수라고 하기에는 아담 사이즈 이지만 그 디자인과 설정만은특이 했습니다. 사실 괴수라는 단어는 괴수(기괴한 짐승)와 괴인(기괴한 인간)과 구분이 되어 지는 단어이여서 사이즈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고지라 이후 거대 괴수라는 이미지가 각인이 되어 미니 괴수라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아무튼 저는 전체적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지고 왔네요. 괴수 영화이니 말이지요. [7광구]를 제대로 즐기려면 먼저 괴수 영화 장르에 대한 전반적인이해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데요. 괴수 영화의 참 재미는 우선 비 현실적인 설정이 기본이 되어야 참 재미를 제공 한다고 봅니다.

괴수 영화의 선조는 1953년 유진 로리의 [심해에서 온 괴물]로 말할 수 있는 데요.리도 사우르스라는 고대의 공룡(물론 상상속의)의 일종이 북극에서 행해진 핵 실험으로 깨어나 도시를 파괴하는 것이 기본이 되게 됩니다. 그리고 본격 적으로 괴수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한 영화가 혼다 이시로의 [고지라](1954년)로 핵실험으로 방사능을 잔뜩 머금은 고대 생명체로 그려집니다. 여기에 과학적 당위성을 넣을 곳은 없다고 봅니다. 이점이 괴수 영화의 특징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다만 현 세대를 투영을 하는 메타포적인 설정이 괴수에덧입혀 지게 되는 데요.리도 사우르스의 경우 냉전으로 핵의 공포가 확신이 된 때를 배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고지라의 경우 핵의 피해자로서 일본이 고지라(핵)에 공격을 당하는 것을 그리게 됩니다. 이런 괴수는 이런 상황에서 자라난다는 설정은 단지 부가적인 설정일 뿐인데요. 최근 봉준호 감독의 [괴물]도 미군이 버린 유해 물질로 인해 돌연변이 된 괴수의 등장을 보게 됩니다. 물론 현실에 근거한 설정이 추가가 되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그런 당위성이라는 설정은 관객들을극에 더욱 몰입 시키는 설정이지 괴수 영화의 필수 불가결의요소라고는 볼수 없기 때문 입니다. 과학적 설정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테크니컬 어드바이저가 필요하지만 국내에는 요원한 일이고 말이지요.

그럼 김지훈 감독의 [7광구]는 어떨까요? 일단 설정면에서는대표적인 괴수 영화들에서 현실의 상황을 괴수로 대변한 설정을 입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다음은 스포일러가 될수 있으니 영화를 보신 후에 함께 하세요.제작팀 아니 윤제균 감독인가요?아무튼 이번 괴수는 다른 괴수 영화 들과의 차이점을 두기 위해 고심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중앙에는 석유가 있습니다.에너지 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산유국이 된다는것은 정말 꿈과 같은 이야기 인데요. 7광구의 괴수가 바로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생명체에서 배양이 된 괴수라는 설정이지요. 그리고 이 녀석은 오리지널 생명체에서 배양이 되어 1차로 변형이 되고 켄터키 프라이드가 된 후에는 무려 2차로 변형이 되기 까지 하는속칭 변신 괴수라고 할 수 있는 데요. 이 조그마한 심해 생명체는 무려 3일간 불을 태울 수 있는 것으로 그려집니다.바로 에너지원이 될수 있다는소리인데요. 여기에는생명체를 산체로 산화 시킨다는 도덕적 문제가 제기가 됩니다. 그러나인간의 욕심은 도덕적인 문제를 쉬이 압도하게 됨을 보게 됩니다. 결국 인간의 욕심이 흉폭한 괴수를 잉태하게 된다는 것인데요. 그리고 그 넘은 화가 나 있습니다. 그리고 사자왕도 이 넘이 충분히 독창적인 괴수라고 생각합니다.


[7광구]에는 크게 두 부류의 인간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보는 데요. 하지원씨로 대표 되는 희망이 없어 보이지만 죽을 힘을 다해 노력을 하자는 신념 있는 노력 파가 등장을 하고, 두 번째 부류는 안성기씨로 대표 되는 대체 할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쉽게 가자는기회주의 적인 사람이 등장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7광구]에서는 어딘 가에는 묻혀 있다고 생각 되는 석유를 찾기 위해 끊임 없이노력 하기 보다는앞서 설명한 괴수로 탄생을 하는 생명체를이용 하는 것을결정 하게 되는 데요. 중심 스토리는 하나의 목표에 끝까지 정진하기 보다는 그 중간에 새로운 기회를 발견 하고 노선을 변경하게 되어 겪게 되는 스토리라고 보입니다.아무튼 제 관점에서7광구의 메인 메세지는 죽을 힘을 다해 자신의 목표에서 벗어나지 말고 끝까지 정진 하자라는것 같았습니다. 아마도 윤제균 감독의 모토 일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이런 기회 주의적인 인간들에게는 꼭 탈이 나는 것을 보게 되는 데요.이 테마에 공감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7광구의 시추선들 중에 하나에서 불이 나오는 장면은 끝까지 한 우물을 판 하지원이 옳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고 봅니다. 아무튼괴수의설정과 메세지 모두 제 마음에 들더군요.

이제 비주얼적인 이야기를 해봐야 할텐데요. 아이맥스로 본 7광구의 입체감은 첫 시도 치고는 매우 훌륭 했다고 봅니다. 특히 심해가 배경이 될때는 실제로 눈 앞에서 보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될 정도 였습니다. 아쉬운 점은 아직 가끔 괴수의 모습이 흐릿하게 보일 때가있는 데요보강 작업으로 개봉하는 4일까지 밤샘 작업을할 것으로 보여, 더 나은 비주얼을 보여 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리고 테크니컬한 점에서는 앞서 언급한 아웃 포커스 장면이 다수 등장을 한다는 것을 꼽고 싶네요. 첫 시도 이니 만큼 애로 사항이 많았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아무튼 가끔씩 입체 되는 인물이 팝업 북과 같이 보일 때가 있었는데 그 점은 좀 아쉽더군요. 그외의 비주얼은 상당 수준을 보였다고 봅니다.

괴수와의 사투 또한 괴수 영화에서는 빠질 수 없는 요소인데요. 거대 괴수가 아닌경우, 주로 괴수와 인간과 정면 대결이 그려지게 됩니다. [7광구]도 그런데요. 길예르모 델토로의 [퍼시픽 림]은 거대 괴수를 등장 시키고 이에 대항 하기 위해 거대로봇을 등장을시킨다고 하지요. 아무튼 사이즈에 따라 괴수에게 대항 하는 방법이 바뀌게 되겠지요. 제 성향일 수도 있지만 제 경우, 액션이 계속 반복 되는 스타일 보다차근 차근 쌓았다가 한번에 작렬을 하는 액션 시퀀스를 선호하는 데요. 그래서인지 하지원 씨와 괴수와의 전투 시퀀스가 다소 지루하게 느껴지더군요. 그리고 잦은 컷도 몰입을 방해 해서 아쉬웠구요. 억지 웃음을 유발하는 설정은 장르 영화의 파괴력을 오히려 감소 시켰다고 보네요. 물론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원하겠지만 결과적으로는괴수 영화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있다고 보는 데요.아무튼 우리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사람은자신의 일에 신념을 가지고 무모할 정도로 노력을 하는 사람, 영화상에서는 골통과 같은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아무튼 저와 같은 성향을 가지신 분이라면어느 정도 공감 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사자왕

로그인 후 7광구에 대한 FAQ를 등록해 주세요.

7광구 관련 동영상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관련자료